오 늘  할  일

- Querydsl 강의듣기

- Querydsl로 기능 구현


공 부 기 록

 

queryDsl( jpql vs querydsl ~

jpql vs querydsl

jpql - 문자열이여서 사용자가 해당 메소드를 호출했을 때 런타임에러 발생

querydsl - 컴파일시점에 에러 발생 QType을 만들어내서 자바코드로 품

 

컴파일 시점 오류 발생, 파라미터 바인딩을 자동으로 해줌 

 

Q-type

Q클래스 인스턴스 사용하는 2가지 방법

별칭 직접 지정 : QReview qReview = new QReview("r"); -> 같은 테이블을 조인해야하는 경우에 사용

기본 인스턴스 사용 : QReview aReview = QReview.review;

 

결과 조회

fetch - 리스트 조회 , 데이터 없으면 빈 리스트 변환

fetchOne - 단건 조회 - 없으면 null, 둘 이상이면 NonUniqueResultException

fetchFirst - limit(1).fetchOne()

fetchResults - 페이징 정보 포함, total count 쿼리 추가 실행 -> 성능이 중요한 쿼리에서는 사용하면 안됨 최적화한 count 쿼리를 따로 날려 줘야함

fetchCount - count 쿼리로 변경해서 count 수 조회

 

정렬

 


Toongather

오늘의 궁금증

1. dto로 변환 할 때는 service 단에서 하는게 나을 까? repository 단에서 바로 dto 로 변환하는게 나을까?


 

회  고

- Querydsl 강의듣기(완료)

- Querydsl로 기능 구현(x)

 

이번 툰게더 사이드 프로젝트 하면서 순수JPA , Spring JPA, Querydsl 다 사용해보려고 했는데

하면서 욕심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ㅋ 이번에는 QueryDsl은 제외한 나머지에 집중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ㅋ

화이팅~

 

 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