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열

-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

- 인덱스를 통해 참조

- 선언한 자료형의 값만 저장할 수 있음

 

특징

-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 할 수 있음

- 새로운 값 삽입 삭제 하기 어렵다 .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다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 시키는 과정이 필요함

-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수 있고 변경할수 없음

 

리스트

-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(값,포인터를 쌍으로 갖는 기초 단위)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

 

특징

-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한다. 고로 접근하는데 속도가 오래걸림

-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속도가 빠름

- 선언할 때 크기는 지정 않아도 됨

-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함.

 

자바에서 Array, ArrayList, LinkedList

 

참고

https://velog.io/@letskuku/%EC%9E%90%EB%A3%8C%EA%B5%AC%EC%A1%B0-Array-vs-ArrayList-vs-LinkedList

반응형

+ Recent posts